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고슴도치 키우기, 고슴도치에 대해 알아보자

by 바미월드 2023. 4. 6.
반응형

고슴도치(hedgehog)

고슴도치는 척추동물 중 하나로, 주로 유럽과 아시아 지역에서 발견됩니다. 작은 몸통과 짧은 다리, 매우 단단한 가시로 둘러싸인 몸체가 특징입니다. 이들은 야행성 동물로, 주로 밤에 활동합니다.
고슴도치는 무리 지어 사는 습성이 없으며, 대개는 홀로 생활합니다. 그러나 겨울에는 몸을 따뜻하게 유지하기 위해 여러 마리가 모여서 깊은 굴에 겹쳐서 겨울잠을 잡니다. 먹이는 곤충, 작은 동물, 과일 등을 먹으며, 밤에 활동하기 때문에 주로 눈이 덜어진 야생동물이 먹이가 됩니다.
고슴도치는 인간과 가까워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매우 귀엽고 애교도 많아서 애완동물로 키우는 것이 인기가 있습니다. 그러나, 고슴도치는 야생에서 잡아와 가정에서 키우는 것이 아니라, 종교적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반드시 합법적인 방법으로 구매해야 하며, 그들의 행동 패턴과 사육환경에 대해 충분한 지식을 가지고 책임감 있게 관리해야 합니다.

고슴도치의 특징

고슴도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가시로 둘러싸인 몸체: 고슴도치는 몸통과 다리, 꼬리에 매우 단단한 가시가 둘러싸여 있습니다. 이 가시는 자신을 위협하는 적을 방어하는 데 사용됩니다.

1. 야행성 동물: 고슴도치는 주로 밤에 활동합니다. 밤에 활동하는 이유는 먹이인 곤충들이 밤에 더 많이 활동하기 때문입니다.
2. 육식성: 고슴도치는 육식성 동물로서, 작은 동물이나 곤충, 과일 등을 먹습니다.
3. 겨울잠: 겨울이 되면 몸을 따뜻하게 유지하기 위해 깊은 굴에 겨울잠을 잡니다.
4. 뛰어난 청각: 고슴도치는 뛰어난 청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먹이인 곤충들의 소리를 잘 들을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5. 개체간 교감: 고슴도치는 개체 간 교감이 부족한 동물로 유명하지만, 개체 간 적극적인 소통이 필요한 경우에는 서로의 몸통을 부드럽게 부딪치거나, 헤드밴질을 하는 등의 행동으로 의사소통을 합니다.

반려동물로서 고슴도치의 장점과 단점

고슴도치는 애완동물로 인기가 있지만, 키우기 전에 고려해야 할 장단점이 있습니다.

1. 장점

  가. 귀여운 외모: 고슴도치는 귀엽고 매력적인 외모를 가지고 있어, 많은 사람들이 애완동물로서 키우기를 원합니다.
  나. 건강한 상태: 고슴도치는 건강하고 강한 면이 있어서, 일반적으로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기 쉽습니다.
  다. 재미있는 성격: 고슴도치는 높은 호기심과 에너지를 가지고 있어, 주인과 놀이를 즐기며 삶의 활력소가 될 수 있습니다.
  라. 적은 먹이량: 고슴도치는 작은 몸집에 비해 적은 양의 먹이를 섭취하기 때문에,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키울 수 있습니다.

2. 단점

  가. 가시 문제: 고슴도치의 가시는 주인에게 상처를 입히거나, 집안에서 떨어져서 다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주인은 항상 고슴도치의 가시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나. 교제 문제: 고슴도치는 교제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사람에게 대처하는 방법을 알지 못하기 때문에, 집안에 적응하기까지 몇 주에서 몇 달이 걸릴 수 있습니다.
  다. 활동량 문제: 고슴도치는 뛰어다니거나, 놀거나, 굴을 파는 등의 활동량이 많지 않습니다. 따라서, 주인은 고슴도치의 운동량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서는 주인과 놀이를 하거나, 적극적인 산책을 시켜줘야 합니다.
  라. 밥 주기 문제: 고슴도치는 밤에 활동하기 때문에, 밥 주기를 밤에 맞추어야 합니다. 이는 주인의 생활패턴과 맞지 않을 수 있으며, 주인이 출근이나 외출 등으로 집을 비울 경우 고슴도치가 굶어야 할 수 있습니다.

반려동물로서 고슴도치를 키우는데 적절한 관리방법과 생활환경

고슴도치를 반려동물로 키우기 위해서는 적절한 관리방법과 생활환경을 마련해야 합니다.

1. 집 안의 환경: 고슴도치는 작은 우리나 집에서 살 수 있습니다. 이때, 우리나 집의 크기는 고슴도치의 크기에 맞게 적당한 크기여야 하며, 밤에 활동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과 물과 사료를 놓을 수 있는 장소가 필요합니다. 또한, 고슴도치가 이동하거나 숨을 곳이 필요하기 때문에 구멍이나 관, 터널 등이 있는 우리나 집이 좋습니다.
2. 온도 조절: 고슴도치는 온도에 민감하기 때문에, 온도 조절이 필요합니다. 고슴도치는 기온이 23도에서 28도 정도인 환경에서 살아갑니다. 따라서, 집안의 온도를 적절하게 유지하고, 겨울철에는 보온용 매트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3. 적절한 사료: 고슴도치는 식물성과 동물성의 사료를 먹습니다. 일반적으로 고슴도치 전용 사료를 구입하여 급여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간식으로 고슴도치용 벌레 또는 기타 간식을 주는 것도 가능합니다.
4. 청결 유지: 고슴도치는 깨끗한 환경에서 살아갑니다. 따라서, 우리나 집의 청소를 주기적으로 해줘야 합니다. 또한, 목욕을 시켜줘야 합니다. 고슴도치는 주기적인 목욕이 필요하지만, 물에 빠지는 것은 건강에 해로울 수 있으므로, 토네이도볼을 사용하여 목욕을 시켜주는 것이 좋습니다.
5. 건강 관리: 고슴도치는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해 주기적인 건강관리가 필요합니다. 이는 동물병원에서 진찰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발치, 교체 등 필요한 경우에는 주인이 적극적으로 대처해주어야 합니다.

고슴도치를 키우는데 주의해야할 점

고슴도치를 키우는데 있어서 주의해야 할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손길에 익히기: 고슴도치는 인간에 대해 처음에는 경계심을 가지기 때문에, 처음부터 집안에 들어와 손길에 익히도록 해주어야 합니다. 하지만, 과도한 안도와 만지기는 고슴도치를 불안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2. 소음에 대한 민감성: 고슴도치는 소음에 민감합니다. 따라서, 음악이나 텔레비전 등 고음을 내는 기계를 틀면 고슴도치가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으므로, 조용한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좋습니다.
3. 먹이 주의: 고슴도치는 인간의 음식을 먹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고철집 같은 집에서는 철분을 많이 먹게 되므로, 적절한 사료와 간식을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4. 온도 관리: 고슴도치는 더운 환경과 추운 환경 모두에 민감합니다. 따라서, 집안의 온도를 적절하게 유지하고, 겨울철에는 보온용 매트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5. 장소 이동에 대한 불안: 고슴도치는 새로운 장소에 대한 불안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집 이전 등의 경우에는 집안의 우리나 집에서 적응하도록 해야 합니다.
6. 운동 공간: 고슴도치는 활동량이 많은 동물이므로, 충분한 운동 공간을 제공해주어야 합니다. 그러나, 고슴도치는 성격상 산책이나 활동을 하지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적극적으로 활동을 유도해주어야 합니다.
7. 목욕에 대한 주의: 고슴도치는 물에 빠지면 건강에 해로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목욕을 시켜줄 때는 토네이도볼 등을 사용하여 목욕을 시켜주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목욕 후에는 헤어드라이기를 이용하여 털을 건조해줘야 합니다.

반응형

댓글